쿵쿵. 심장이 뛴다.
심장은 뛰어야만 한다. 그렇지 않으면 모든 것이 멈춘다.
두근두근. 이렇게 심장이 뛸 때에는 조만간 무슨 일이 벌어진다.
그게 불길하든 무섭든 너무너무 좋은 일이든.
공포영화는 이 두근두근을 가장 사악하게 이용하며,
연애소설은 이 두근두근을 가장 교묘하게 이용한다.
(생각과 달리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다.
그래도 두근두근의 기억은 오래 남는다. 가끔은 추억이라고 이름붙여주기도 하는.)
한참 이탈리안 롹이 '프로그레시브'라는 타이틀을 달고 국내에 들어올 때 데 데 린드 De De Lind가 1973년에 발표한 유일한 앨범도 함께 들어왔다.
「Io Non So Da Dove Vengo. E Non So Dove Mai Andro. Uomo E'll Nome Che Mi Han Dato」라는, 아주 긴 제목을 단 앨범이었다. ("나는 어디에서 왔는지 어디로 가야하는지 모른다. 인간은 그들이 내게 부여해준 이름이다."라고 해석한다고 해설지에 적어놓았다.)
지금 기억할 수 있는 데 데 린드의 곡은 하나도 없다.
그만큼, 이 앨범을 자주 꺼내듣지 않았다는 이야기이다.
하지만 항상 이 그림을 볼 때마다 '이런 건 LP 커버로 봐야 제맛일텐데...'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.
석상, 그리고 그의 가숨에 붙어 있는 아주 빨간 심장.
배경이 하얀 색이었으므로 그 심장은 더 빨갛게 보인다.
이 앨범은 음악보다는 이 커버에 먼저 끌렸고, 지금도 가끔 커버 때문에 꺼내 음악을 듣게 된다.
이탈리안 롹 앨범 커버 아티스트의 많은 작품에서 자주 이름을 찾아볼 수 있는 일러스트레이터 마리오 콘체르티노 Mario Concertino의 작품이다.
(이탈리안 롹을 좋아했다면 오르메 Le Orme의 음반 하나쯤은 가지고 있을 것이다. 그렇다면 크레딧을 자세히 살펴볼 것. 마리오 콘체르티노의 이름을 발견할 확률은 95%다. 안젤로 브란두아르디 Angelo Branduardi의 앨범을 꺼내봐도 좋다. 마리오 콘체르티노의 커버 아트에 대해서는 따로 적을 예정이다.)
앨범 타이틀로 따져본다면, 심장은 너무나 뻔하지만 인간을 상징한다.
그 심장이 지금 붉게 물들었으니, 저 석상은 곧 일어서서 나와 함께 걷고 있을 것이다.
(그렇게 되려면 1천년 쯤 지나야 가능할 수도 있다. 그럼 당신이 바로 1천년 전의 저 석상?)
푸 파이터스 Foo Fighters의 「One By One」(RCA, 2002)은 아주 깔끔한 심장 일러스트레이션을 담고 있다. 레이먼드 페티본 Raymond Pettibon이 그렸다. (부클릿은 그가 그린 다섯 컷의 빨간 심장 일러스트로 장식되어 있다.)
이 앨범 커버 속 심장은 꺼멓다.
타버린 심장... 무엇을 기다리다? 무엇에 지쳐서? 무슨 아픔 때문에?
그림 제목은 "Tired"다.
무엇이 그를 지치게 만들었을까? 그 또는 그녀?
그의 심장은 이제 까맣게 타버렸다. 이 심장은 곧 움직임을 멈출지도 모른다.
안타깝지만... 심장이 이렇게 까맣게 되는 동안에도 그 또는 그녀는 여전히 평소와 다름없는 생활을 할 것이다. 하긴, 내 심장 속도 모르는데. C'est la vie...
반 더 그라프 제너레이터 Van The Graff Generator의 멤버였던 피터 해밀 Peter Hammill이 발표한 「X My Heart」(Discipline/PonyCanyon, 1996) 속 심장은 해석하기 어렵다.
앨범 타이틀도 그렇거니와 앨범 속에서 그림의 해석에 대한 어떤 단서도 찾지 못했다.
<X My Heart>라는 노래가 있었으면 좋았을 것을...
아니, 이 앨범이 세계에서 히트를 기록한 베스트셀러였다면 아마도, 모든 인터뷰는 이 커버 아트에 대한 이야기부터 시작했을 것이다. "커버 일러스트가 굉장히 의미심장합니다. 어떤 의미를 담고 있습니까?"라는 인터뷰어의 질문을 상상할 수는 있지만 피터 해밀의 답변은 떠오르지 않는다.
모두 상상이다.
한가지만 더 상상하면, 유난히 우울한 앨범 속 피터 해밀은 음악의 상상력을 되찾고 싶어하는 중이라고 해볼까? <Material Possession>에서 노래한 "Broken, lost, the precious thing, does that make your life so empty?"라는 가사 정도면 근접할 수 있을까?
어쨌든 리다트 Ridart에서 제작했다는 이 커버 아트 역시 그리 편해보이지는 않는다.
그나마 건강한 심장은, 철조망에 둘러쌓였지만 빛을 뿜고 있는 드림 시어터 Dream Theater의 앨범 「Live At The Marquee」(WEA, 1993) 속 심장이다.
영원한 삶을 살고 있다는 그의 모습을 보는 것 같다.
이 심장이 상징하는 것은 무엇일까? 바로 그것 뿐일까?
하지만 이 심장도 아파보인다.
심장을 둘러싼 저 철조망은 심장이 뛸수록 더 조여들 것 같다.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관련 포스트
[커버/스토리] - 심장이 아프다 part 2